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023년 상반기 관심 가져야 될 서울 분양 아파트! feat. 은평 센트레빌, 휘경 자이 디센시아

by Nowhome 2023. 3. 9.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 동안 블로그를 쉬다가 다시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바로 서울 청약 때문입니다. 규제가 풀리게 되어 무 주택자뿐만 아니라 1 주택자도 이제 1순위 청약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는데요. 앞으로 기대되는 청약 아파트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은평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시그니처

2023년 3월 10일에 서울 은평구에서 분양 하는 센트레빌 아스테리움입니다. 

  • 서울시 은평구 역촌동 189-1번지 일대
  • 공급규모 454세대
  • 역촌 1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 시공사 동부건설
  • 59A, 59B, 59C, 70A, 70B, 84 타입 분양

공급가

가격대는 59 타입이 최저 5억 4000만 원 대부터 84 타입 8억 중반대까지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주변 아파트들 시세는 어떻게 될까요.

 

은평구인지라 신축 단지가 인근에 많이 없지만 가장 비빌만한 단지로써는 응암역 효성 해링턴이 있습니다. 입지적인 측면서에서 응암효성아파트가 더 좋다고 볼 수 있지만 센트레빌 아스테리움이 완공되는 시점에선 두 아파트의 나이차가 7년 차가 됩니다. 따라서 비교대상으로 적절하다가 생각하고 있는데요. 가장 최근에 59 타입 거래가가 7억 5500만 원입니다.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보다 무려 2억이나 비싸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안전마진 최소 1억 예상됩니다. 

 

 

휘경자이 디센시아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172에서 분양하는 자이 디센시아입니다. 아직 정확한 분양일정은 안 나왔으나 4월 중으로 나올 것 같습니다. 

  • 지에스건설
  • 1806세대 대단지
  • 분양 700세대
  • 휘경 3 재정비촉진지구 재개발 정비사업조합
  • 39/49/59/84 타입
  • 전매제한 6개월 실거주의무 없음

 

 

자이 디센시아 위치

회기역 역세권에 위치하고 있으나 지상철이라서 매우 큰 소음이 예상됩니다. 역세권의 장점과 소음의 단점이 공존하는 지역이며 학세권의 위치도 아니라 입지 부분에서는 조금 아쉬운 점이 많은 아파트이긴 합니다. 하지만 인근 장위자이랑 비슷한 가격인 평당 2900만 원으로 분양하는 만큼 완판이 기대되며 주변 시세대비 5000만 원정도 안전마진 있다고 생각됩니다.

 

휘경 sk뷰가 84 타입 9억대에 최근 거래됐으며 현재 급매가 10억에 올라와있습니다.

 

sk뷰와 휘경자이

 

 

 

 

[부동산] - 대구 부동산 폭락 TOP5 아파트와 매수 시기는?

 

대구 부동산 폭락 TOP5 아파트와 매수 시기는?

대구 하락 TOP5 아파트와 매수시기에 관한 의견 안녕하세요. 요즘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습니다. 대부분 시장이 폭락하고 있으며 특히 인천, 대구와 같은 공급폭탄 지역은 하락폭을 더욱 키우

lee-space.tistory.com

[부동산] - 부동산 급매 잘 잡는 8가지 방법!

 

부동산 급매 잘 잡는 8가지 방법!

서울을 비롯해 전국이 대 하락장을 겪고 있습니다. 다시는 보기 힘들 하락장 일수도 있는데요. 이럴 때일수록 더욱 공부하고 시장을 모니터링해야 벼락거지 또는 하우스푸어에서 벗어날 수 있

lee-space.tistory.com

[부동산] - 가로주택 정비사업이란? 절차/ 장점/ 단점/ 투자 방법

 

가로주택 정비사업이란? 절차/ 장점/ 단점/ 투자 방법

가로주택정비사업 가로주택 정비사업은 말 그대로 가로(도로)에 둘러싸인 블록 단위의 소규모 노후 주택들을 정비하기 위해 시행하는 작은 단위의 재건축 사업입니다. 기본 요건으로는 1) 도시

lee-space.tistory.com

[파인다이닝] - [부동산용어] 역전세 역월세 뜻 5분만에 이해 시켜 드립니다.

 

[부동산용어] 역전세 역월세 뜻 5분만에 이해 시켜 드립니다.

서울 부동산이 금리인상과 거래 절벽 속에 이번 주 아파트값이 또다시 역대 최대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로써 25주 연속으로 하락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이 폭락장을 이어

lee-spac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