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대구 부동산 폭락 TOP5 아파트와 매수 시기는?

by Nowhome 2023. 2. 4.
반응형

대구 하락 TOP5 아파트와 매수시기에 관한 의견

안녕하세요. 요즘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습니다. 대부분 시장이 폭락하고 있으며 특히 인천, 대구와 같은 공급폭탄 지역은 하락폭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반면에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토허제 해제를 앞두고 급매들이 빠르게 소화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구 폭락 아파트 TOP5를 알아보겠습니다.

500세대 이상 나름 대단지 직거래는 순위에서 제외함

 

5위 중구 대봉동 더샵 리비테르 2차 2022년식 612세대 

먼저 5위를 차지한 대봉동 더샵리비테르 입니다. 위 아파트는 건들바위역으로부터 도보 7분 경대병원역 1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의 두 번째 핵심구인 중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성구청역 인근의 수많은 학원가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아파트입니다. 

 

74㎡ 29평형 21년 5월 최고가 6억 9660만 원 ---> 22년 7월 3억 7,367만 원에 거래완료 46% 하락

대봉동 더샵리비테르 실거래가
대봉동 더샵리비테르

4위 중구 수창동 대구 센트럴자이 2017년 10월식 1005세대 39층 주상복합

수창동에 위치한 대구 센트럴자이는 3호선 당성공원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지 인근으로 수창 초등학교와 백화점이 인접해 있습니다. 그리고 인근에 130개의 학원가가 형성되어 있어 학생들 학원 보내기에도 좋습니다. 

 

72㎡ 30평형 20년 12월에 6억 5800만 원 ---> 22년 12월에 3억 4700만 원에 거래 완료 47% 하락

전세가가 2억대 형성돼 있어 전세가율이 50% 정도에 형성되어 있음

대구 수창동 대구역센트럴자이 실거래가
수창 대구역센트럴자이

3위 달성군 교양리 옥포대성베르힐 4단지 2016년 10월 식 1067세대 

옥포대성베르힐은 달성군에 위치하고 있어 사실 크게 관심 있지는 않지만 매우 큰 하락률로 3위에 자리 잡았네요. 달성군청 도보거리에 있으며 초, 중학교가 도보 5분 거리에 있습니다.

전용 면적 84㎡ 33평형 작년 4월 5억 1000만 원 ---> 22년 11월 2억 6500만 원에 거래 48% 하락

전세는 1억 7000만 원에 최저 호가 형성하고 있고 전세가율 60%대 형성되어 있음

대구 교향리 옥포대성베르힐4단지
대구 교향리 옥포대성베르힐4단지

2위는 달서구 월성래미안 2006년식 760세대 

대구 달서구는 수성구 다음으로 교육환경과 학군이 좋은 곳입니다. 대표적으로 대구외고, 경원고, 상인고, 영남고, 상원고 등이 있으며 인근 중학교의 학업성취도도 매우 우수합니다. 1호선 월배역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월서 초, 중학교와 영중고, 상원고가 도보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보권에 학원수가 무려 280개가 있네요.

 

84㎡ 33평형 21년 02월 5억 9000만 원 ---> 22년 12월 2억 9000만 원에 중계 거래  하락율 51% 

전세가율은 대략 50%로 보임

 

월성 삼성래미안 아파트
월성 삼성래미안 아파트

1위는 수성구에 위치한 만촌 삼정그린코에듀파크  2019년식 774세대 

범4만3 즉, 범어4동 만촌 3을 중심으로 한 최상급지인 수성구에 속해 있는 아파트이며 서울 대치동에 버금가는 학군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고등학교는 대구과학고, 경신고, 대구여고, 대륜고, 남산고, 정화여고, 경북고 등 대구 최고의 명군 고등학교들이 모여 있습니다. 2호선 담티역으로 부터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하며, 수성 구청역 인근으로 약 330개의 학원가가 있고 담티역 인근에 100여 개의 학원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용 75㎡ 30평형이 20년 10월에 최고가 13억 9000만 원---> 22년 12월에 6억 4700만 원에 중계거래. 저층 거래이지만 무려 55%가 빠졌습니다. 그동안 만촌 3동을 등에 업고 고평가가 되어있었던 것이죠. 

 

전국 미분양 아파트의 5개 중 1곳이 대구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대구 부동산 시장이 불안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내년까지 대구의 공급이 수요 대비 상당히 높기 때문에 조금 더 관망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그럼 언제 대구시장을 노리면 되냐? 

저 개인적으로는

  • 공급물량이 감소하고
  • 전세물량이 소화되며
  • 전세가율이 높아지는 시점 그리고
  • '미분양 물건 매수 시 양도세 면제' 혜택이 나오는 시점

그러한 시점이 오면 저점은 아니더라고 낮은 가격에 살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항상 부동산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있어야 급매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이미 반토막 났거나 앞으로 반토막 될 아파트들을 유심이 지켜보고 매수를 고려하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